Golang kakaotalk chat bot making

Kakaotalk [1] chat bot [2] 은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해져서 Go 언어로 간단한 Kakaotalk chat bot 을 만들어 봤습니다. Go 언어의 강력함과 Kakaotalk auto-reply API 의 단순성, 그리고 echo 서버 역할 정도만 하자는 심플하다 못해 썰렁한 기능 목표 덕에 최초 목표한 데까지는 두시간 만에 만들어졌습니다. 매우 단순히 echo 서버 정도의 역할만 하고 있지만, 매우 단순하게 짜여져 있기 때문에 Kakaotalk chat bot 을 만들고자 할 때, 또는 Restful API 를 사용하는 서버를 Go 언어로 짜고자 할 때 시작용으로 참고할 만 하지 않을까 싶어 소개합니다....

March 15, 2017 · 1 min · 95 words · Me

Using arping to know ip-MAC mapping

You can use arping to know IP address to MAC address mapping of your local network. Usage is simple: arping [-AbDfhqUV] [-c count] [-w deadline] [-s source] -I interface destination For example, you may use the command as below: $ arping -I eth0 10.0.0.1 ARPING 10.0.0.1 from 10.0.0.2 eth0 Unicast reply from 10.0.0.1 [11:22:33:44:55:66] 0.123ms Unicast reply from 10.0.0.1 [11:22:33:44:55:66] 0.251ms ... Secret of the tool is ARP protocol [1]. To know the MAC address of the machine that has a specific IP address, IP protocol layer uses the protocol....

March 7, 2017 · 1 min · 133 words · Me

Using arping to know ip-MAC mapping

로컬 네트워크에서 어떤 IP 주소가 어떤 MAC 어드레스에 매핑되는지 알기 위해 arping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arping [-AbDfhqUV] [-c count] [-w deadline] [-s source] -I interface destination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arping -I eth0 10.0.0.1 ARPING 10.0.0.1 from 10.0.0.2 eth0 Unicast reply from 10.0.0.1 [11:22:33:44:55:66] 0.123ms Unicast reply from 10.0.0.1 [11:22:33:44:55:66] 0.251ms ... 이 툴의 동작 원리는 ARP 프로토콜 [1] 입니다. IP 프로토콜 레이어는 이 프로토콜을 사용해 특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기계의 MAC 어드레스를 파악하고 이 주소를 아랫단의 Ethernet 레이어에 보냅니다....

March 7, 2017 · 1 min · 110 words · Me

beautifulhugo 테마 tags 기능 구현

꽤 맘에 드는 hugo 테마[1]를 찾았다. 하지만 tag 기능이 빠져있어 너무 아쉬워하다가 이대로 포기하기엔 너무 맘에 들어 이래저래 찾아보니 과거에 tag 기능 관련 이슈가 올라왔지만 close 처리된 상태. 이대로는 암만 기다려도 tag 기능을 구현해주진 않겠구나 싶어서 이것저것 보고 낑낑대며 서툴고 간단하게나마 tag 기능을 구현[2]. Pull request[3] 도 보냈는데 과연 받아들여줄런지. 업데이트: 별다른 discussion 없이 머지됐다 ;) [1] http://themes.gohugo.io/beautifulhugo/ [2] https://github.com/sjp38/beautifulhugo-sj [3] https://github.com/halogenica/beautifulhugo/pull/15

February 24, 2017 · 1 min · 62 words · Me

1990년대의 palmtop, HP 95LX 를 득템

이사로 생긴 쓰레기 정리를 돕다가 보니 한 물건이 유난히 눈에 띄었다. 자그마한 크기에 왠지 모르게 90년대 감성. 자세히 살펴 보니 전자사전 같이 생겼는데 왠지 옛날에 유행하던 palmtop[1] 같은 느낌. 어차피 버릴 물건이기에 따로 챙겨두고 컴퓨터로 검색을 해보았다. ![HP 95LX] (/img/hp95lx/1.jpg) 모델명인 HP 95LX 로 검색해보니[2] 한때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의 대명사였던 Lotus 123 을 탑재한 것으로 유명한 palmtop PC 로, MS-DOS 를 장착한 모델이다. 당연하게도 바로는 안켜지지만 잘 살펴보니 전용 배터리가 아니라 2A 건전지를 사용하고 있기에 건전지를 끼고 파워 버튼을 눌러봤지만 역시 잠잠....

February 2, 2017 · 2 min · 266 words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