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4.14 htpps://lkml.kernel.org/r/CA+55aFwqXh4rgJJ3T98k8wa-JYF7t8mWuwUjdxkbZyOyDEcGzQ@mail.gmail.com
드디어 v4.14 의 릴리즈입니다. 이번 버전은 또하나의 LTS 커널이 될 예정이군요.
동시에, v4.15 를 위한 머지 윈도우가 열렸습니다. 이번 머지 윈도우는 thanks giving 이랑 겹치게 되었는데, 이때문에 머지 윈도우를 연장할지 아니면 아예 1주일 줄일지 토발즈는 고민중인 것 같네요.
[RFC PATCH v11 for 4.15 01/24] Restartable sequences system call https://lkml.kernel.org/r/20171114200414.2188-2-mathieu.desnoyers@efficios.com
몇년전부터 올라오고 있으나 아직 머지되지 못한, restartable sequence 패치의 최신 버전이 또 올라왔습니다. 유저스페이스의 크리티컬 섹션을 커널에게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Linux 4.14-rc8 https://lwn.net/Articles/738207/
v4.14 를 향한 (아마도) 마지막 rc 버전의 릴리즈입니다.
정말로 별다른 일 없었다면 그냥 이번에 v4.14 릴리즈를 할 계획이었지만 그정도는 아니었다고 하는군요. 어쨌든 rc8 덕분에 v4.15 merge window 는 thanksgiving week 를 포함하게 되었는데 토발즈는 이때 가족과 휴가를 갈 계획이라 랩톱 가지고 휴가다니는 동안에도 머지를 잘 할 수 있길 바라지만 문제가 생기면 merge window 를 연장할 수도 있겠다고 하네요. 일단 어떻게 될지 두고보자는군요.
이번 릴리즈에 포함된 변경은 대부분 드라이버 쪽 변경이고, SPDK 관련 소스코드에 라이센스 추가 등을 한 사소하지만 커다란 양의 변경이 있습니다.
OSSummit 등록도 마쳤고, 남은 하루는 프라하 성 쪽을 둘러보기로 했습니다. 내일부터는 OSSummit 발표를 아침부터 오후까지 들어야 하므로, 프라하 관광을 해가 떠있을 때 하는건 오늘이 마지막이니 부지런히 걸어야 합니다. 어떻게 생각해 보면 꽤 강행군이기도 하고, 아침 일찍 도착하길 다행이다 싶습니다.
Vltava[1] ![foo] (/img/osse_03/4.jpg)
OSSummit 컨퍼런스 회장인 힐튼 프라하 호텔은 프라하 시내의 동북쪽에 위치해 있어서 조금만 걸으면 아침에 심카드 사고 나서 걸었던 블타바 강이 나옵니다. 아까 지나갔던 코스지만 한번 더 걸어가기로 합니다.
Immigration ![immigration] (/img/osse_02/14.jpg)
먼저 공항에서 입국심사를 거쳐야 합니다. 한글 표지판이 많이 있어서 영어에 익숙지 않은 분들도 비교적 쉽게 적응할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다녀온 외국은 미국인데요.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미국에 갈 때 비자가 필요없지만 E-SATA 로 등록을 해야 하고, 언젠가부터 E-SATA 등록비도 몇만원 정도 생겼죠. 또, 미국은 입국심사가 왠지 날카롭다는 인상입니다. 입국할 때 입국심사 카드도 써야하고 여기 숙소 주소 등도 적어야 하고, 지문도 찍어야 하죠. 공항 보안검색대에선 투시카메라로 사진도 찍고.
Linux 4.14-rc7 https://lkml.kernel.org/r/CA+55aFwhgxivTE3k88nshbrH9nd-4nhmhXGzw-MxRVGxf-R8Eg@mail.gmail.com
일곱번째 rc 버전의 릴리즈입니다.
OSSE 와 kernel summit 으로 프라하를 방문했던 토발즈인데, 집에 잘 돌아왔다는군요. 이번 rc 버전은 기존의 rc7 보다도 작은 편에 가깝다고 합니다만, 다음 한주간이 정말 조용하지 않는한은 rc8 릴리즈를 할 생각이라는군요.
Re: Page allocator bottleneck https://lkml.kernel.org/r/1c218381-067e-7757-ccc2-4e5befd2bfc3@mellanox.com
멜라녹스의 빠른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page allocator 의 속도가 bottleneck 이 된다는 이야기에 대한 업데이트입니다. 여전히 해당 부분이 bottleneck 이며, queued_spin_lock_slowpath() 가 85 % 가까이 CPU 를 차지하고 있군요.
![pargue!] (/img/osse_01/8.jpg)
Open Source Summit Europe 과 Embedded Linux Conference Europe, 그리고 Annual Kernel Summit 이 합동으로 열린 프라하에 다녀왔습니다.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겨봅니다.
The Event 리눅스 재단에서는 다양한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2015년까지는 한국에서도 Korea Linux Forum 이라는 행사를 매년 열었죠. 특히 2015년에는 커널 서밋도 함께해서 특히 특별했던 기억입니다. 이런 이벤트들 중에서도 가장 큰 이벤트는 오픈소스 서밋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이벤트는 기존의 리눅스콘 등 행사들이 합쳐진 행사입니다. 가장 큰 이벤트가 오픈소스 서밋이라면 가장 중요한 행사는 커널 서밋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Linux 4.14-rc6 https://lkml.kernel.org/r/CA+55aFxSJGeN=2X-uX-on1Uq2Nb8+v1aiMDz5H1+tKW_N5Q+6g@mail.gmail.com
여섯번째 rc 버전의 릴리즈입니다.
토발즈 집 인터넷 문제로 평소보다 늦은 릴리즈였군요. 이번 rc 버전은 기대보다는 좀 많은 내용이 추가되었는데, 때문에 어쩌면 rc8 까지 나올지도 모르겠다고 하는군요. 물론 확정되거나 한건 아니라고 합니다.
Re: [GIT PULL rcu/next] RCU commits for 4.15 https://lkml.kernel.org/r/20171023204502.GA2776@linux.vnet.ibm.com
4.15 에 들어가야 할 RCU 쪽 커밋들의 풀리퀘스트 입니다.
문서, RCU CPU Stall warning 업데이트, rcutorture 쪽 업데이트가 포함되었네요.
[GIT PULL de-alpha] Make core code not need to know about Alpha for v4.
Linux 4.14-rc5 https://lkml.kernel.org/r/CA+55aFyKgEL3dj7XGYsPQd8y_z0GWx91TLZPSQAxjrua1aWOLw@mail.gmail.com
다섯번째 rc 버전의 릴리즈입니다.
Lazy TLB flushing 변경은 지나치게 게으르게 TLB flushing 을 해서 AMD 칩 일부에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었다는군요.
일부 서브시스템에서 fuzzing 을 통한 문제 발견과 수정이 있었는데 좋은 현상이라고도 언급합니다.
전체적으로 x86, powerpc, mips 에의 arch 업데이트, gpu, networking, usb, sound, misc 드라이버 업데이트, lockdep, networking, mm 쪽 코어 커널 업데이트, 그리고 perf 와 selftest 에의 업데이트가 있었다고 이번 릴리즈를 정리하는군요.
[PATCH 0/2] mm, thp: introduce dedicated transparent huge page https://lkml.
최근 커널은 stakc dump 에서 콜 트레이스(Call Trace) 에 각 코드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찍어주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 포스팅을 해봅니다.
Call Trace 커널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하면 문제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stack dump 를 로그로 뿌려 줍니다. 문제의 원인을 찾는데 매우 소중한 정보입니다. 그 정보 중에서도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콜 트레이스로, 이 문제의 순간에 오기까지 어느 함수의 어느 지점에서 어느 함수를 호출해서 여기까지 왔는가를 담는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