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OSSummit 2017 Attendence - 02

Immigration ![immigration] (/img/osse_02/14.jpg) 먼저 공항에서 입국심사를 거쳐야 합니다. 한글 표지판이 많이 있어서 영어에 익숙지 않은 분들도 비교적 쉽게 적응할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다녀온 외국은 미국인데요.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미국에 갈 때 비자가 필요없지만 E-SATA 로 등록을 해야 하고, 언젠가부터 E-SATA 등록비도 몇만원 정도 생겼죠. 또, 미국은 입국심사가 왠지 날카롭다는 인상입니다. 입국할 때 입국심사 카드도 써야하고 여기 숙소 주소 등도 적어야 하고, 지문도 찍어야 하죠. 공항 보안검색대에선 투시카메라로 사진도 찍고.

LKML News after v4.14-rc7

Linux 4.14-rc7 https://lkml.kernel.org/r/CA+55aFwhgxivTE3k88nshbrH9nd-4nhmhXGzw-MxRVGxf-R8Eg@mail.gmail.com 일곱번째 rc 버전의 릴리즈입니다. OSSE 와 kernel summit 으로 프라하를 방문했던 토발즈인데, 집에 잘 돌아왔다는군요. 이번 rc 버전은 기존의 rc7 보다도 작은 편에 가깝다고 합니다만, 다음 한주간이 정말 조용하지 않는한은 rc8 릴리즈를 할 생각이라는군요. Re: Page allocator bottleneck https://lkml.kernel.org/r/1c218381-067e-7757-ccc2-4e5befd2bfc3@mellanox.com 멜라녹스의 빠른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page allocator 의 속도가 bottleneck 이 된다는 이야기에 대한 업데이트입니다. 여전히 해당 부분이 bottleneck 이며, queued_spin_lock_slowpath() 가 85 % 가까이 CPU 를 차지하고 있군요.

OSSummit 2017 Attendence - 01

![pargue!] (/img/osse_01/8.jpg) Open Source Summit Europe 과 Embedded Linux Conference Europe, 그리고 Annual Kernel Summit 이 합동으로 열린 프라하에 다녀왔습니다.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겨봅니다. The Event 리눅스 재단에서는 다양한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2015년까지는 한국에서도 Korea Linux Forum 이라는 행사를 매년 열었죠. 특히 2015년에는 커널 서밋도 함께해서 특히 특별했던 기억입니다. 이런 이벤트들 중에서도 가장 큰 이벤트는 오픈소스 서밋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이벤트는 기존의 리눅스콘 등 행사들이 합쳐진 행사입니다. 가장 큰 이벤트가 오픈소스 서밋이라면 가장 중요한 행사는 커널 서밋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LKML News after v4.14-rc6

Linux 4.14-rc6 https://lkml.kernel.org/r/CA+55aFxSJGeN=2X-uX-on1Uq2Nb8+v1aiMDz5H1+tKW_N5Q+6g@mail.gmail.com 여섯번째 rc 버전의 릴리즈입니다. 토발즈 집 인터넷 문제로 평소보다 늦은 릴리즈였군요. 이번 rc 버전은 기대보다는 좀 많은 내용이 추가되었는데, 때문에 어쩌면 rc8 까지 나올지도 모르겠다고 하는군요. 물론 확정되거나 한건 아니라고 합니다. Re: [GIT PULL rcu/next] RCU commits for 4.15 https://lkml.kernel.org/r/20171023204502.GA2776@linux.vnet.ibm.com 4.15 에 들어가야 할 RCU 쪽 커밋들의 풀리퀘스트 입니다. 문서, RCU CPU Stall warning 업데이트, rcutorture 쪽 업데이트가 포함되었네요. [GIT PULL de-alpha] Make core code not need to know about Alpha for v4.

LKML News after v4.14-rc5

Linux 4.14-rc5 https://lkml.kernel.org/r/CA+55aFyKgEL3dj7XGYsPQd8y_z0GWx91TLZPSQAxjrua1aWOLw@mail.gmail.com 다섯번째 rc 버전의 릴리즈입니다. Lazy TLB flushing 변경은 지나치게 게으르게 TLB flushing 을 해서 AMD 칩 일부에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었다는군요. 일부 서브시스템에서 fuzzing 을 통한 문제 발견과 수정이 있었는데 좋은 현상이라고도 언급합니다. 전체적으로 x86, powerpc, mips 에의 arch 업데이트, gpu, networking, usb, sound, misc 드라이버 업데이트, lockdep, networking, mm 쪽 코어 커널 업데이트, 그리고 perf 와 selftest 에의 업데이트가 있었다고 이번 릴리즈를 정리하는군요. [PATCH 0/2] mm, thp: introduce dedicated transparent huge page https://lkml.

LKML News - Intro

LKML 을 모니터링 하면서 흥미가는 패치나 토론을 lkml news 라는 카테고리로 묶어서 비정기적, 비형식적으로 간략히 정리하고 관련 소식을 업데이트 해보고자 합니다. 주로 모니터링 하는 메일은 메모리 매니지먼트 쪽과 rcu 관련 메일들이 될겁니다.

Kernel text addresses removed from calltrace

최근 커널은 stakc dump 에서 콜 트레이스(Call Trace) 에 각 코드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찍어주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 포스팅을 해봅니다. Call Trace 커널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하면 문제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stack dump 를 로그로 뿌려 줍니다. 문제의 원인을 찾는데 매우 소중한 정보입니다. 그 정보 중에서도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콜 트레이스로, 이 문제의 순간에 오기까지 어느 함수의 어느 지점에서 어느 함수를 호출해서 여기까지 왔는가를 담는 정보입니다.

Fetching linux kernel source code

리눅스 커널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므로 그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 커널 소스코드를 받아올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설명합니다. kernel.org 리눅스 커널 소스 코드를 받아오기 위한 기본적 공식 사이트는 [kernel.org] (https://www.kernel.org) 라 할 수 있겠는데, 이 사이트에는 소스 코드를 포함해 리눅스 커널을 위한 다양한 리소스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 웹브라우저를 통해 들어가보면 첫페이지에서부터 가장 최근에 릴리즈된 버전의 소스코드, 가장 최근의 안정화된 버전의 소스코드 등을 tar.

Updating Google Chrome on Fedora 23

I am using Fedora 23 laptop and installed stable version Google Chrome from its official website [0]. In this case, just using Updates of Fedora Software program doesn’t update Chrome automatically. For the case, follow below commands to update your Chrome: $ sudo dnf update google-chrome-stable ... $ sudo killall chrome $ google-chrome-stable The second killall command is necessary because Chrome doesn’t kill its process by just cliking Close button. Or, you may reboot your computer but you wouldn’t like that.

Using arping to know ip-MAC mapping

You can use arping to know IP address to MAC address mapping of your local network. Usage is simple: arping [-AbDfhqUV] [-c count] [-w deadline] [-s source] -I interface destination For example, you may use the command as below: $ arping -I eth0 10.0.0.1 ARPING 10.0.0.1 from 10.0.0.2 eth0 Unicast reply from 10.0.0.1 [11:22:33:44:55:66] 0.123ms Unicast reply from 10.0.0.1 [11:22:33:44:55:66] 0.251ms ... Secret of the tool is ARP protocol [1]. To know the MAC address of the machine that has a specific IP address, IP protocol layer uses the protocol.